[실수]
float a = 2.2F
(F =float type 명시함.)
대부분 double를 쓴다.
[정수]
뒤에다 L,B,S 등을 안 붙이면 자동으로 Int로 설정됨.
byte b = 100; < 100의 datatype은 int임
float a = 1.1; < double
[형변환]
데이터타입(형식)을 전환하는 것
ex) int > float 전환하는 것
1. 자동 형 변환 implicit Conversion
- 표현범위가 좁은 데이터 타입에서 넓은 데이터타입으로의 변환만 허용
- 예) float > double (O) | double > float (X)
2. 명시적 형 변환 explicit conversion
- 괄호 안에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서 값 앞에 위치시키는 것
- (데이터타입)데이터값
- 예) float a = (float)100.0; double ->float | int b = (int)100.0F
[연산자 operator]
-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 우선순위가 있음
1. 대입 연산자
2. 산술 연산자 arithmetic
+ (문자를 연결할 때도 사용) , - , * , / , %
[ Boolean ]
- true / false를 의미하는 데이터 타입
[비교연산자]
- 동등 비교 연산자 : ==, ! = , < , < =, >, > =
- .equals : 문자열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
[ 논리 연산자 conditional operator ]
- && : and
- || : or
- ! : not
[단항 연산자 infix operator]
+ : 양수 표현. 실제로 사용할 필요 X (ex) +3
- : 음수 표현
++ : 증가(increment) 연산자. 항의 값을 1씩 증가시킴.
- - : 감소(decrement) 연산자
System.out.println(++i); << 안에서 계산됨 ( i + 1 )
System.out.println(i++); << 이 맥락이 끝나게 되면 계산 됨. (기존의 i 값 출력> i + 1)
https://www.youtube.com/watch?v=kShhYYur7uk&list=PLuHgQVnccGMCeAy-2-llhw3nWoQKUvQck&index=34
'Program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다시 시작하는 JAVA 기초 6일차 (0) | 2022.01.09 |
---|---|
[생활코딩] 다시 시작하는 JAVA 기초 5일차 (0) | 2022.01.06 |
[생활코딩 공부] 다시 시작하는 JAVA 기초 3일차 (0) | 2021.12.29 |
[생활코딩 공부] 다시 시작하는 JAVA 기초 2일차 (0) | 2021.12.23 |
[생활코딩 공부] 다시 시작하는 JAVA 기초 1일차 (2)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