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공부] 다시 시작하는 JAVA 기초 3일차
[변수 variable]
- data를 담는 container
- int(데이터 형식) a(변수의 이름);
- 가변적인 것을 변수로 지정하면 좋음
<장점>
- 중복 제거
- 가독성 높임
- 유지보수 good
[상수 constant]
- 변하지 않는 값
<정수>
- 소수점 X, 숫자만
- 정수의 데이터 형식
- byte : 메모리크기 1byte, (-127~127)
- short: (2 byte, -32,768~32,767)
- int : (4byte, -2,147,483~2,147,483,647), 기본
- long: 8byte, (-9,223,372,036,854,775,808~9,223,372,036,854,775,807)
<실수>
- 실수의 데이터 형식
- float: 4byte
- double: 8byte
(실수를 사용할 때는 double을 사용하자)
왜 data type을 맞춰야 하는가?
>>>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 형식 그에 맞게 설정해야 함
(ex)
float a = 2.2F;
long a = 13421434L;
[문자열]
- char : 2byte, 모든 유니코드 문자, 문자/문자열 데이터 형식
- string: 문자열의 데이터 형식
[한 줄에 정의]
String first = "coding";
[여러개 정의]
String a, b;
[comment 주석]
- 로직에 대한 설명이나 코드를 비활성화 할 때 사용
- 프로그래밍적으로 해석 X
< 한줄 주석 >
//
< 여러줄 주석 >
*/ ~ */
< javaDoc 주석 >
/** 로 시작하는 주석
자바의 문서를 만들 때 사용
[ ; 세미콜론 ]
statement(문장)의 끝
[ 데이터의 크기 ]
bit : 컴퓨터에 저장되는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 0과 1
[본 강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