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IT 회사의 팀 프로젝트 [일본 IT회사에서 1달동안 현장실습 - 2]
프로젝트는 spring을 썼다.
3학년때 스프링을 배우는데 2학년인 나에게는 좀 벅찼지만,
강의를 찾아보거나 리더님께 물어보기도 하며
소스 코드의 폴더 구조랑 스프링의 기초(dto,dao) 정도는 알게 됐다.
스프링을 써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었는가?
- 직원의 근태정보를 관리하는 웹사이트
- 회원가입, 로그인, 근태정보 입력, 근태정보 검색
- 4가지 기능을 각자 1기능씩, 팀내에서도 2팀으로 나눴다.
- 로그인 & 회원가입 / 근태정보 & 검색으로 나눴다.
개발 환경 제약
- JDK 8 (진짜 옛날 자바를 다시 깔았었다.. 매우 놀랐다.)
- Spring
- Eclipse (아마 web developer 전용으로)
- Apache Tomcat8.5
- MyBatis
프로젝트 진행 순서 <내가 맡은 회원가입만 내용만 가져왔다.>
- 간편화한 설계서 작성
- 시간이 1달밖에 없어서 스프링에 더 시간을 주기 위해 제공된 샘플 설계서보다는 새로 만든 설계서로 만들었다.
- 한 눈에 바로 볼 수 있도록 한 페이지에 만들었다.
- 수시로 확인하며 보기 좋게 잘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2. mysql에서 테이블 정의서를 토대로 테이블 만들기
- 제공된 테이블 정의서를 토대로 테이블을 만들었다.
- 다 만든 후 export한 다음에 팀원들이 import 하도록 만들었다.
- 팀원의 노트북에서 import 할때는 만들었던 schema 이름 그대로 똑같이 만들어줘야 export가 된다.
3. views 폴더의 jsp 파일들로 페이지 이동하기
- nav에서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싶었는데, 여러 강의나 검색을 통해서 방법을 알아냈다.
- controller에서 @RequestMapping을 이용해서 페이지 이동을 했다.
- 참고한 강의 영상: https://youtu.be/Afc9Bgo12UA
3. jsp파일에서 html, css로 화면 구성하기
- 기존에 제공해주신 화면 레이아웃은 사용자 입장에서 보기에 불편했다.
- 사용자 입장에서 알기 쉽게 만들기 위해 수정을 했다.
- 오랜만에 html,css를 하면서 새롭게 배운 지식도 있었다.
5. dto, dao 등을 사용한 데이터 삽입 기능
- mappers에서 sql문을 짠 후에 dao에서 가져와서 conroller에서 dao를 사용하도록 했다.
- dto는 회원가입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는 용도로 썼다.
6. javascript를 이용한 페이지 향상
- javascript를 이용해 동적으로 형식이 맞지 않는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경고창 같은 것도 javascript로 만들었다.
- 하면서 기억이 다시 나기도 하고 새롭게 배우기도 했다.
7. 발표에서의 소감
-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완성물에 만족했다.
- 스프링 폴더 구조나 dto,dao의 의미 등 스프링 기초를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 스프링을 미리 공부하지 못해서 한 기능이라도 완전히 되지 않아 아쉬웠다.
- 시간이 되면 회원가입 기능을 완성하고 싶다.
프로젝트 하면서 배운 점은 앞으로 차차 정리 포스팅을 올릴 예정이다.
다만, 팀원들의 역량이 사람마다 다른게 어려웠다.
거의 내가 팀의 리더였기에 팀은 관리하고 팀원마다 진행상황이 어떤지 확인했다.
1학년때 배운 html, css, js를 다 까먹은 팀원들이 있어 화면을 구성하는데도 많이 도와줘야 했다.
리더님께 배운 mysql 연결을 팀원이나 다른 팀에게 다 알려줘야 했다..
내가 만든 테이블도 타팀에게 import하게 했다.
mysql 쓰는 방법을 학교에서 배운 적이 없으니 그건 괜찮았다. (나는 혼자서 좀 배웠었다.)
그리고 타 팀이 일주일전에 내가 찾아서 공유한 강의 영상을 잘 보지도 않고 알려달라고 하고
1학년이나 2학년때 배운 내용까지 모르겠다고 도와달라고 하니 좀 힘들었지만,
그래도 물어보기라도 하는게 낫다고 생각했다.
누구보다도 열심히 해서 다른 학우분보다 더 많이 배울 수 있고,
팀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감을 잡아 갔다.
3학년때 배울 스프링을 더 수월하게 습득할거라 예상한다.